★세상에서 가장 못 믿을 건 나의 뇌★
*기억의7가지 착각-'착각1편'
최근 운동 경기에서 비디오 판독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다.
흔히 비디오가 ‘부족한 눈’을 도와주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 비디오가 도와주는 대상은 ‘인간의 부족한 뇌’인 경우가 더 많다.
뇌는 보지 않고도 봤다고 믿는 착각을 시시때때로 해내기 때문이다.
미국 하버드대 정신의학교실 애런 넬슨 교수가 집필한
‘치매 예방과 최적의 기억력(조윤커뮤니케이션 펴냄)’이
이대목동병원 신경과학교실 최경규 교수의 번역으로 출간됐다.
이 책에는 ‘기억의 7가지 착각’이 소개돼 있다.
▽ 착각 1: 틀린 정보를 만들어내는 뇌
초등학생 축구 시합에서 ‘볼이 손에 닿았네, 안 닿았네’ 라며
양쪽 선수들과 학부모, 심판이 한 덩어리가 돼 싸운다.
모두 “분명 내 눈으로 봤다”고 주장한다. 거짓말을 하는 사람도 없다.
모두가 자신의 ‘목격 사실’을 말하기에 다툼은 더 치열하다.
이런 일은 왜 발생할까. 바로 ‘뇌가 영상을 만들어내는 능력’,
즉 뇌의 암시 가능성 때문이다.
순간에 일어난 일이라 정확히 보지 못했으면서도 “분명 손에 닿았다”고
생각하는 순간, 뇌는 공이 손에 닿는 영상을 순식간에 만들어낸다.
“안 닿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마찬가지로 안 닿는 영상을 창작해 입력시킨다.
바로 뇌의 이러한 특징 때문에
점점 더 많은 운동 경기에서 카메라 판독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한 실험에서, 자동차 충돌 장면을 보여주면서
‘자동차가 부딪혔을 때’와 ‘자동차가 박살났을 때’로 단어를 살짝 바꿔 물어보니
응답자들이 추정하는 차의 주행 속도는
‘박살났을 때’로 물었을 때 더 높았다. 이렇게 사람의 뇌는 암시만 줘도 쉽게 속는다.
‘암시에 의한 뇌의 착각’은 과거 일을 회상할 때도 작동된다.
법정 등에서 상대편 변호사가 교묘하게 질문하면 그에 맞춘 대답이 나오는 이유다.
미국에서는 1990년 에일린이란 여자가
“내 아버지가 21년 전에 8살짜리 여자아이를 강간, 살해한 장면을 본 것이
이제야 기억난다”고 증언해 아버지가 유죄 판결을 받게 했다.
그러나 그녀의 회상은 21년 전 읽은 신문 기사를 자신의 본 것처럼 기억한 것으로 드러났다.
머리에 떠오른다고 다 믿어서는 안 되는 이유는 바로 이 뇌에 ‘착각 1’ 때문이다.
★ #좋은글 좋은글귀 어플
https://goo.gl/vyj2t2
★ #성경말씀 아침묵상 어플
https://goo.gl/4wsQxe
★ #고르디쥬얼리
http://storefarm.naver.com/egordi
댓글
댓글 쓰기